Array 객체

Java Script 2011. 7. 21. 20:44


  안녕하세요?
  저번까지는 자바스크립트 내장함수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오늘부터는 내장 객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객체란 말은 저도 잘은 모르지만 예를들어 모니터가 있으면 모니터의 종류,모양,생깔,크기 이런것은 속성이라고 합니다. 모니터는 객체구요. 그리고 모니터를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은 메소드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서 하나의 물건은 객체이고 그 물건의 특징은 속성이고 그것의 기능들은 메소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메소드는 방법이라는 뜻이죠.
  예를들어 오늘배울 array 객체는 배열이라는 뜻인데 속성과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속성은 length즉 배열의 갯수를 반환하는 것이있고 concat은 두개의 배열을 하나로 연결시키는 것, 그리고 join은 배열의 값을 하나로 연결하는 것, reverse는 배열의 내용을 거꾸로 반환하는 것, sort는 배열을 정렬하는 것 이런 메소드들이 있습니다. 간단한 예제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가실겁니다. 먼저 배열의 길이를 구하는 length속성예입니다.

<html>
<head><title>Array객체</title>
<script>
a=new Array(10,20,30,40)
b=a.length
document.write("배열의 갯수는 "+b+"개입니다.")
</script>
</head>
</html>

  자 우리가 모르는 부분은 a=new Array(10,20,30,40) 입니다. 이 말은 a라는 객체에 new니깐 새로 만들고 a라는 객체는 Array 즉 배열객체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그 값은 10,20,30,40 이렇게 4개를 가지고 있구요. 이해가시죠? 그다음에 b=a.length 하고 했는데 이 말은 객체배열 a의 length(길이,갯수)를 b라는 변수에 저장하라는 말입니다. 그러니깐 4개니깐 b의 값은 4가 되겠지요?
  그다음에 화면에 출력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이해가시리라 믿고 다음 메소드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먼저 join메소드입니다. 이것은 배열들을 한데 묶는 것입니다. 다음예를 보시죠.

<html>
<head><title>Array객체</title>
<script>
a=new Array(10,20,30,40)
b=a.join("+")
document.write(b)
</script>
</head>
</html>

  이번에는 length가 아니고 join("+") 이렇게 b의 값이 되었습니다. 이 말은 10,20,30,40을 +를 사용해서 묶어라 하는 내용입니다. 즉 10+20+30+40 이렇게 하라는 말입니다. +를 안쓰면 그냥 ,로 나타납니다. 즉 10,20,30,40이렇게 됩니다.

  그다음은 concat메소드입니다. 이것은 두개의 배열을 하나로 연결시켜주는 것입니다. 다음 예를 보시죠.

<html>
<head><title>Array객체</title>
<script>
a=new Array(10,20,30,40)
b=new Array("안녕","자바스크립트")
c=a.concat(b)
document.write("a와 b배열을 합치면 "+c)
</script>
</head>
</html>

a배열과 b배열을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c에다가 a.concat(b)했는데 이말은 a의 합치는 것을 실행하는데 b배열과 합쳐라 하는 내용입니다. 그것을 c에다가 저장해라 하는 거지요. 그럼 결과는 어떻게 나올까요?

10,20,30,40,안녕,자바스크립트

  이렇게 나오겠죠? 두 배열객체를 합쳤으니깐요.

  그다음에는 마지막으로 sort메소드를 해봅시다. sort는 말그대로 정렬하다는 뜻이죠. 그래서 배열의 값을 정렬해서 보여줍니다. 다음예를 보시죠.

<html>
<head><title>Array객체</title>
<script>
a=new Array(30,10,20,40)
b=a.sort()
document.write("a배열을 정렬하면 "+b)
</script>
</head>
</html>

  이렇게 하면 a배열객체를 정렬해서 b에다가 값을 입력해라 하는 내용이지요? 이젠 다 이해하실정도가 된다고 봅니다만. 자 이것을 불러와보면 어떻게 결과가 나올까요? 물론 정렬된 상태로 나오겠지요?
  즉 10,20,30,40 이렇게 나올겁니다.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내장객체 중 하나인 Array 배열객체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어렵지요? 그래도 이정도는 쉬운겁니다 그죠? 계속 더 어려워질건데 각오 단단히 하고 공부합시다. 그럼 다음에 또 만나요~

참고서적 : 알찬예제로 배우는 HTML+자바스크립트

'Java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h 객체  (0) 2011.07.26
Date객체  (0) 2011.07.25
사용자 입력함수 prompt  (0) 2011.07.19
confirm함수  (0) 2011.07.17
함수의 기분구조와 alert내장함수  (0) 2011.07.14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