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의 명상

책소개 2011. 6. 26. 14:41




생활속의 명상 - 일상을 명상으로 바꾸는 16가지 지혜
곽노순 구본형 김용택 김홍일 박선태 박완서 박희준 우종영 이생진 이연자 이현주 임동창 조병준 최남률 최성현 차윤정 지음
출판사 : (주)한문화멀티미디어
218페이지/10,000원


제목그대로 생활속에서 할수 있는 명상을 소개해놨습니다. 월간 <건강 단>에 연재되었던 내용을 책으로 엮었다고 합니다. 명상이러면 뭐 특별한거같고 신비한거 같고 하지만 실제로는 삶자체가 명상이라고 하지요. 걷고 앉고 서고 눕고 먹고 모든게 다 명상이라고 합니다. 그 순간에 깨어있기만 하면 말이죠. 밥먹다가 딴생각하고 걷다가 딴생각하고 물론 그 생각을 알아차리면 그것도 하나의 명상이겠지요. 그러나 대부분 못 알아차립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간단한 테크닉들을 적어놓았습니다. 현재에 깨어있기, 자기기 무엇을 하는지 알기, 이것이 명상의 기본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저도 정말 잘 안되는데 계속 수행하다보면 그렇게 될 날도 있지 않을까요?


- 목차 -
책을 펴내며 4
들어가기 전에 10

산책
장소와 친해지기 17 걷기 18 달리기 20
길에서ㆍ김용택 22

교류
마음과 마음 잇기 31 연대감 34 기운 나누기 37
몸으로 만나다ㆍ조병준 39


나무와 교감하기 49 나무 명상 51 숲의 소리 52
살아남은 나무를 보면 경건해진다ㆍ차윤정 54

소리
소리 듣기 63 소리 내기 65 음악 명상 69
음악, 소리의 혼을 읽고 소리랑 잘 노는 것ㆍ임동창 70


문향聞香 77 향 피우고 절하기 79
향과 함께 하는 삶ㆍ박희준 81

기도
소음 속의 기도 89 장소 91 빈 마음의 기도 92
기도 성취를 돕는 법 93 화살 기도 95 에너지를 부르는 기도 96
거룩한 일과ㆍ김홍일 98

산행
산에 오르기 105 정상에서 107
혼자 걷는 산행ㆍ우종영 108


결심언決心言 115 칭찬하기 120 나를 변화시키는 말 121
말의 힘ㆍ박완서 123

차茶
차 마시기 129 차 즐기기 130
차를 사랑하는 생활ㆍ이연자 131

침묵
감각에 집중하기 137 받아들이기 138 미소 짓기139 정보단식 140
침묵의 소리ㆍ이현주 142

바다
해변 산책 149 근심 던지기 150 파도에 공명하기 152
나는 바다에서 시를 줍는다ㆍ이생진 153

습관 벗기
바라보기 159 몸에게 이야기한다 160 선명한 이미지를 그린다 161
끝까지 자신을 믿어 주라 162 습관 달력과 일기 쓰기 163
엉성한 내 걸음걸이 바꾸기ㆍ구본형 164


알아차리기 173 아랫배로 숨쉬기 174
언어 이전에 호흡이 있었다ㆍ최남률 176

자연
달빛 받기 183 아름다운 자연물 모으기 184 식물 기르기 485
해충과도 밥을 나눠야 한다ㆍ최성현 188

일기
일기 쓰기 싫은 날 199 소망을 이루어 주는 일기 200
일기로 하는 마음 대조 공부ㆍ박선태 202


자기 암시 209 자궁으로 돌아가기 210 죽음의 명상 211 빛의 샤워 213
낮 세계도 꿈인 걸을ㆍ곽노순 214


책속으로
내가 다니는 이 큰길엔 한 그루의 느티나무가 우뚝 서 있다. 보면 볼수록 의젓하고 품위가 있다. 만약 이 느티나무가 여기 없었다면 이 들판이 얼마나 쓸쓸하고 적막할까를 생각한다. 아주 맞춤한 곳에 맞춘 듯 서 있는 것이다. 봄에 연초록 잎이 피어나기 시작하면 이 느티나무 아래에서 나는 맘이 설렌다. --- p.24

“나는 벵갈어를 모르고, 저들은 영어를 몰라. 내가 저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은 딱 한 가지 뿐이야. 손으로 만지는 것 마링야. 고무장갑을 낀 손으로 상대를 쓰다듬으면서 ‘널 사랑해’라고 말할 수 있어?”
캘커타의 공식 언어는 영어였지만, 진짜 언어는 영어가 아니었습니다. 바로 몸이었습니다. 손으로, 눈빛으로, 그리고 서로 감싸 안은 어깨와 가슴으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습니다. --- p.40

오랜 숲에 항상 일정한 그루의 나무가 살아남듯이 세상에는 무엇이든 항상 일정한 몫만큼만 주어진다. 내게 주어진 몫이 진짜 나만의 것인지 물어볼 일이다. 사라진 나무로써 살아남은 나무가 드러난다. 지금의 내가 가진 것이 나만의 것이 아닐 지도 모른다. --- p.57

보통사람들은 소리를 머리로 듣는다. 자기도 모르게 자신에게 입력되어 있는 관념으로 소리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음악입네 하고 베토벤이며 재즈를 듣지만 어느새 우리의 머리에는 베토벤의 양식, 재즈의 양식이 들어앉아 버린다. 그렇게 익숙해진 분위기에 젖어 소리의 본질을 발견할 수 있는 자신의 안목이 가려지고 만다. --- p.72

우리가 향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은 연기가 아니라 타고 있는 향의 불씨 바로 아래쪽이다. 향을 감상할 때도 향을 곧바로 코 끝으로 가져가지 않고 코 끝보다 조금 위쪽에서 향기를 맡도록 한다. --- p.84

종종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기도 하고, 그런 질문 앞에 서기도 한다. 그러나 누구도 기도하는 법을 가르칠 수는 없다는 것이 많은 영적 지도자들의 대답이다. (……) 다만 중요한 것은 방법의 문제가 아니라 태도가 아닐까. 그런 점에서 좋은 기도의 방법은 말할 수 없지만 좋은 태도가 있다면 그것은 하느님 앞에서 솔직해지는 것이다. 깊은 만남은 먼저 대상에 대한 정직함으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부정되고 초월되어야 할 자기, 용서받고 위로받아야 할 자기, 사랑받고 격려받아야 할 있는 그대로의 자기를 하느님 앞에 열고 기다리는 자리, 기도가 시작되는 자리는 그 곳이 아닐까. --- p.101

그 시간 이후로 그와의 묘한 산행이 시작되었다. 그가 어디서 잤는지 어디서 물을 떠먹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길 곳곳에서 우리는 서로를 다시 만나게 되었다. 나는 달팽이 걸음으로 가고 그는 나보다 빠르긴 하지만 곳곳에서 오래도록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먼 발치서 바라본 그의 모습은 모든 것을 비운 나무 같았다. 그가 만약 누군가와 같이 왔다면 자연과 하나가 되어 교감하는 어떤 내밀함을 포기하는 것이 되었을 것이다. --- p.110

소설가가 된 후에 입교를 하게 되었기 때문인지, 종교에 너무 깊이 빠지면 소설을 못 쓴다고 걱정해 주는 이가 더러 있었다. 그러나 나는 생명력 있는 말엔 힘이 있다는 걸 믿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과 종교는 상방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잘 통하는 사이라는 것을 막연하게나마 느껴왔기 때문에 그런 걱정은 안했다. 어머니의 이야기가 나에게 위안과 꿈과 힘이 되었던 것처럼, 내가 만든 이야기도 독자들과 만나 그렇게 될 수 있지 않을까. --- p.125

남편과의 냉전 때 한 잔의 차는 화해의 감로수가 된다. 아이들의 행동이 올바르지 못할 때도 찻자리를 만든다. 찻자리에서는 시키지 않아도 아이들은 반듯하게 허리를 펴고 두 손으로 공손하게 모으고 표정도 단아하고 정숙해진다. 육체의 중심인 허리가 바르면 기본적인 건강은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공손한 자세로 두 손을 모아 잡는 것은 공동체 생활에 질서를 부여하며, 도덕적 윤리의 기틀이 되는 규범 역할을 한다. 찻자리는 군더더기 말이 필요 없이 저절로 기본 틀을 잡아주는 것이다. --- p.132

나는 가끔 거문고 산조의 진양조를 듣는다. ‘퉁’하고 한 소리 울린 다음 침묵이 계속되다가 깜빡 잊었다는 듯이 울리는 퉁! 그 소리가 참 좋다. 한참 듣다보니 문득 소리와 소리 사이의 묵음이 들리기 시작했고 그리하여 거문고 느린 진양조 가락이 들려주는 ‘침묵의 소리’에 맛을 들이게 되었다. --- p.143

바다에 가면 바다가 하는 말이 있다. 바다라는 생명체가 보내는 텔레파시다. 나는 그것을 받아서 시를 쓴다. 그것은 바다라는 생명과 인간인 나와의 만남이다. 그래서 바다에서 시를 쓴다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 나는 바다에서 시를 쓴다기보다 시를 줍는다. (……) 나는 바다에서 시를 줍고, 돌아와서는 바다에서 얻어온 시를 정리한다. 「그리운 바다 성산포」에 실린 수십 편의 시들은 그렇게 사흘 만에 쓰여졌다. --- p.154

나는 45년간이나 익숙해져 있는 걸음걸이를 바꾸어 가고 있는 중이다. 그런 점에서 나는 지금 걸음을 배우고 있는 한 살짜리 아이와 같다. 새로운 걸음걸이가 나는 너무 재미있다. 2년이 지나 세 살이 되면 잘 걸을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세 살이 되어서도 잘 못 걷는 아이는 거의 없으니까. (……) 스스로에게 약속한 것을 지키는 데 한번이라도 성공해본 사람은 그 기쁨이 무엇인지 안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은 재생된다. 그리하여 자신의 가장 소중한 자산이 된다. 바로 ‘변화의 능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pp.166~168

그러나 나는 아무것도 한 게 없다. 어느 누구도 그에게 이래라 저래라 가르침을 준 적이 없다. 술을 마시지 말라고 말한 적도, 노름에서 손을 떼라고 설교를 늘어놓은 적도 없다. 그저 호흡만 하도록 시켰을 뿐이다. 숨을 고르는 가운데 그는 자신의 참모습을 만났다. 그때 나는 가장 좋은 교육이 호흡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내가 그에게 도덕적인 설교를 늘어놓았던들 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을까? --- p.1778


궁금할 것이다. 논에 가서 벌레에게 “너무 많이 드시지는 마세요” 라고 말했다고 썼는데, 과연 벌레가 그 말을 들어주리라 믿고 했는지, 아니면 그냥 하는 말이었는지?
나는 믿었다. 그렇게 해서 어떻게 됐느냐 하면, 벌레가 곧바로 내 말을 들어주지는 않았다. 그래도 ‘너무 많이 드시지는 않아서’ 한 해 먹을 양식을 거둘 수 있었다. 그러면 되고, 그 정도로도 나는 고맙다. 벌레가 내 말을 들어주지 않을 때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내 정성이 부족한가 보구나. 내게 뭔가 문제가 있나 보구나. 그것이 내가 살아가는 방식이다. --- p.195

‘일기 기재記載’란 일기를 기록한 다음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하고, 그 일기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듣는 마음 대조 공부다. 원래는 원불교 교무들만이 하던 수행법이었으나, 최근에는 원불교 신자들뿐 아니라 학생들과 일반인들에게까지 전해져 생활 속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수행 일기에서는 일기를 쓰는 것(writing)이 아니라 기재(recording)한다고 한다. 쓴다고 하면 왠지 글을 잘 지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생기기 때문이다. --- p.202

길몽은 잠을 계속하게 하거니와 악몽은 깨게 할 개연성이 높다. 석가나 노자, 예수와 장자는 그렇게 해서 우주 너머의 실재實在에 눈을 뜨고 잠을 깬 사례라 할 수 있지 않을까? 명상이란 이들의 뒤를 좇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낮 세계도 꿈인 줄을 알아 연연하지 않는 것이며 둘째, 무서움을 모르는 자세를 연마한 끝에 꿈속에서도 맑은 의식을 유지하는 일이다. 그리고 셋째는 이것이다. 꿈의 무대를 사라지게 한 채 달게 잠을 계속하거나, 꿈을 각색하는 그 보편적 창조성에 자신의 의지를 일치시켜 임의로 조화를 부려 보는 것. --- p.217  출처 : 네이버

'책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불수행입문  (0) 2011.06.27
부드러운 말한마디 미묘한 향이로다  (0) 2011.06.27
우리시대의 마음공부  (0) 2011.06.26
밥상위에 숨은보약찾기  (0) 2011.06.26
달라이라마의 365일 명상  (0) 2011.06.26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