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산 대선사의 선의나침반2

책소개 2011. 7. 9. 18:39




선의 나침반-숭산대선사의 가르침2
현각 엮음, 허문명 옮김
출판사 : 열림원
229페이지/7,500원

 
  열반하신 숭산큰스님의 선불교에 대한 이야깁니다. 알기쉽게 잘 풀어서 설명하신 것같습니다. 특히 스님께서는 외국에 선원을 개설하신 것으로 유명하시지요. 특히 미국에 있는 재가불자들과 서신으로 문답한 것을 엮은 오직 모를뿐은 저번에 소개해 드린거 같습니다. 이 선의 나침반 1,2권은 불교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아는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선의 나침반
예수님은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하셨다.
불교 역시 진리로 향하는 길을 걸으며 참 나를 깨닫고
고통에 빠진 중생들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것이야말로 인간으로 태어난 우리가 진정 할 수 있는 일이다.
순간순간 볼 때, 들을 때, 냄새 맡을 때, 맛볼 때, 느낄 때, 생각할 때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진리이다. 이것을 깨닫는다면
우리는 바로 지금 이 순간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배고픈 사람이 다가오면 밥을, 목마른 사람에게는 물을 주려 할 것이며
고통받는 사람이 다가오면 그를 도우려 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우리의 올바른 기능이며 올바른 생명이다. - 뒷표지에서


부처님은 본성을 찾는 것이 우리 삶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우리에게 가르쳐준 최초의 인물이다. ‘우리는 태어났을 때 어디서 왔는가, 죽으면 어디로 가는가. 올바른 삶이란 과연 무엇인가.’ 많은 사람들은 ‘당신이 누구인가?’ 하는 질문을 받으면 이렇게 대답한다. 변호사, 의사, 택시 기사, 학생 혹은 누구누구의 남편, 아내, 딸, 아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우리 바깥의 모습일 뿐이다.
이제 우리 내면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그리하여 참 삶을 살아야 한다. 진정한 삶이란 바로 대자대비의 삶이다.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중생들까지도 고통으로부터 구해내는 것이다. 그것을 위해서는 우리 자신부터 먼저 고통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것이 우리가 본성을 찾아야 하는 이유이다.
죽기 전에 우리는 그것을 알아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올바른 삶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책에서 찾아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공부를 많이 한 박사라도 우리 자신의 본성을 모른다면 소용이 없다. 본성을 찾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참선 수행이다.
바른 수행은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일에서부터 시작한다. ‘나는 누구인가?’라고 묻는 것이 참선 수행의 시작이자 끝이다. 이 질문을 깊이 하게 되면 모든 생각이 끊어지고 생각 이전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그리하여 ‘오직 모를 뿐’을 깨달아 우리 자신을 알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본래 모습이란 바로 이러한 생각이 일어나기 전의 마음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라야만 우리는 우리 자신을 찾을 수 있고 다른 중생들을 고통에서 구해낼 수 있다. 그것이 바로 ‘눈뜸’이다.
이 책의 제목을 왜 ‘선의 나침반’이라고 지었는가? 부처님은 우리 인생이 ‘고해(苦海)’라고 가르쳤다. 모든 사람들은 나고 늙고 병들어 죽는다. 그리고 또 다시 태어나고, 우리의 욕망과 집착 때문에 우리는 고해에 빠지기를 반복한다. 산스크리트로 이것을 ‘삼사라(samsara, 輪回)’라고 부른다. 돌고 돌고 돈다는 뜻이다. 부처님은 우리가 이 고통의 바다를 건너기 위해 ‘지혜(prajna)의 배’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 배에는 다른 배들과 마찬가지로 나침반이 필요하다. _저자의 말 중에서


‘오직 모를 뿐…….’
그 순간 우리 자신과 우주는 완벽하게 하나가 된다. 다른 것도 아닌 오직 ‘참선 수행’이라는 직접 경험을 통해 올바른 길과 진리를 얻게 되는 것이다. 예수님은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라고 하셨다. 불교 역시 진리로 향하는 길을 걸으며 참 나를 깨닫고 고통에 빠진 중생들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것이야말로 인간으로 태어난 우리가 진정 할 수 있는 일이다.
우리가 참 나를 얻을 때 우리는 우주적 존재가 된다. 우주와 나는 분리되지 않은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깨닫는다면 우리는 바로 지금 이 순간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눈앞에서 볼 수 있다. 순간순간 올바른 상황, 올바른 관계, 올바른 실천(실용, 實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불교의 목적은 ‘깨달음을 얻고 모든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다.(上求菩提 下化衆生)’ 그러나 이 두 가지는 분리되는 것이 아니다. 깨닫고 가르치는 것은 수레의 양쪽 바퀴와도 같은 것이다. 한쪽이 고장나면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 예를 들어 당신이 깨달음을 얻는다고 하면서 사람들과의 삶을 소홀히 한다면 진리로 향하는 길은 더욱 요원해지게 된다. 한편 깨달음을 얻기 위한 피나는 수행을 하지 않는다면 또한 부처가 될 수 없다.
깨달음을 얻고 중생을 제도하는 두 가지 수레바퀴로 나아갈 때, 우리는 불국토의 나라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아무리 8만 4천 경전이나 성경을 줄줄이 왼다 하더라도 나 자신을 찾지 못한다면 중생을 제도할 수 없으며, 그 모든 이해와 지식은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박사학위를 몇 개씩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정작 눈감고 죽는 순간에 그것이 무슨 도움이 된단 말인가. _본문 중에서


《반야심경》의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하늘은 푸르다. 나무는 초록색이다. 벽은 하얗다. 밖에 개가 짖는다. 우리 마음은 크고 둥근 거울 같다. 오로지 비추고 비추고 비추기만 한다.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진리, 즉 여여(如如, truth like-this)이다.
그러나 진리를 반영하는 것만으로는 세상을 도울 수 없다. 물론 우주처럼 맑은 거울 같은 마음을 가져 이 세계를 있는 그대로 비춰야 한다. 깨끗한 거울 같은 마음에 붉은 공을 비추면 붉은 것이 비춰진다. 하얀 공을 비추면 하얀 것이 비춰진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충분치 않다. 만약 배고픈 사람이 내 앞에 나타났을 때 단지 같이 배고파하면 되는가. 슬픈 사람이 나타났을 때 그저 같이 슬퍼하면 되는가. 단순히 진리를 비추는 것만으로는 이들을 도와주지 못한다. 좀더 완벽한 답이 필요하다. _본문 중에서


-목차-
선의나침반1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1. 불교
불교의 목적
불교의 분 류
불교의 구성


2. 소승불교
소승불교
무상관
부정관
무아관
연기
십이연기
사성제
팔정도
삼법인
삼학


3. 대승불교
대승불교
금강경
반야심경
대열반경
법화경
화엄경
법성게
업과 윤회
카르마
육바라밀행


선의나침반2
4. 선불교
선의 분류
최상승선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고칙공안
좌선
대오
참구법
선의 3요소
선 정진
선원
어떤 것이 불성인가
세 가지 물건
여여한 경지
돌이켜보라
인생 길
보는 자가 여래다
어느 곳으로 가는가
도솔삼관
어느 것이 생사를 벗어난 것인가
본래 얼굴
실중삼관
있는 그대로 부처다


‘오직 모를 뿐’으로 정진하라
10개의 공안
광우병과 나침반
옮긴이의 말

'책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찾으려 애쓰지 말라  (0) 2011.07.11
생활속의 관음경  (0) 2011.07.10
그대 가슴속의 꽃을 피워라1  (0) 2011.07.07
달마에서 성철까지  (0) 2011.07.07
선,빈거울에 담긴 노래  (0) 2011.07.06


설정

트랙백

댓글